카테고리 없음

기상학에서 말하는 기단이란?

뉴스5 2022. 12. 30. 00:32

기단의 개념은 지역과 시간을 넘어, 날씨의 차이점을 이야기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기단의 종류에는 한대기단, 열대기단, 중위도기단이 있으며 기단을 분류하는 방식에는 물리적 분류와 지리적 분류등으로 기단을 분류한다. 기상학에서 말하는 기단에 대하여 종류와 그 특징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단이란
기단이란?

기단이란

기상학에서 말하는 기단이란?

날씨에서 중요한 요소들은 기온, 기압, 바람 등이 있는데 이런 것들에 큰 변화를 주는 것이 바로 기단이다. 이러한 기단에 대하여 조금씩 알아보면 좋을것같다.

 

1. 한대기단과 열대기단

한대전선은 수천 킬로미터에 걸쳐 뻗어 있다. 한대전선을 경계로 한대기단과 열대기단이 위치하게 된다. 이는 이들 기단이 각각 한대지방과 열대자빙에서 소속된 기단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이런 기단들은 모두 중위도에서 있다. 

 

2. 중위도기단

중위도에 나타나고 있는 열대기단은 '중위도기간'으로 불리 수 있을 정도로 흔히 열대지방을 벗어난 곳에서 발견된다. 한대제트, 아열대제트, 아열대전선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개념이다. 여기서 열대기간과 중위도기단의 구분이 가능하다. 아열대전선 분석에서 한 가지 어려운 점을 이야기하면, 아열대전선이 지표면까지 다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표면에서 중위도기단과 열대기단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구분은 아열대전선이 확인될 수 있는 상공에서만 가능한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대저기압의 웜섹터에 위치하고 있는 기단을 역대기단이라고 한다. 

 

3. 중규모 전선

규모가 10~1000km에 이르는 전선들도 일기도에서 분석될 때가 많다. 중규모 전선과 거대규모 전선 모두 다 종종 뇌우를 형성한다. 또한 두 전선의 교차점은 새로운 뇌우를 발달시키는데 특별히 유리하다. 중규모 과정에 대한 붆석이 어렵다는 것은, 약 일주일 동안 지속될 수 있는 한대전선과는 달리, 단지 몇 시간만 지속되기 때문이다. 뇌우, 해륙풍 등은 6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두 개의 연속되는 종관일기도에 모두 나타날 수는 없다고 한다. 

 

4. 기단의 변질 

기단은 공기가 지리적으로 한 영역에서 약 1주일 이상 머물을 때 형성이 된다. 공기는 지표면으로부터 그 기단의 특성(열과 수증기)을 얻게 된다. 한 기단의 물리적인 특성은 다른 기단이 차지하고 있던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그 아래 지표면으로부터 새 특성을 얻게 되면서 천천히 변해간다. 기단의 교환은 열대지방에서 극지방 끼지 열과 수증기를 수송한다. 위도 사이의 기단의 변화는 열에너지를 황동적인 운동에너지로 변화시키는 중요한 고리이다. 기단의 변화는 대기대순환을 일으키는 열역학 과정의 한 부분이다. 기단의 변화는 한대기단이 열대기단으로 변해가는 과정에서 어느 시기에 열대기단으로 부를 수 있는 가를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한 가지 방법은 어느 정도 해당 기단의 특별한 징후가 보일 때는 기단의 특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기단의 분류

1) 물리적 분류 : 기단의 물리적 분류에는 온난, 한랭, 안정, 불안정, 습윤, 건조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한랭, 오닌 이라는 표현은 기단 특성을 그 아래의 지표면과 비교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전선의 한랭 쪽, 또는 온난 쪽이란 표현으로도 사용한다. 보톤 한랭 기단이 불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온난기단이 안정하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2) 지리적 분류 : 대륙성, 해양성, 그리고 태평양, 대서양, 시베리아, 캐나다, 북극과 같은 특별한 지역 이름을 사용한다. 지리적 분류는 때로는 애매한 부분도 있다. 예를 들면, '대륙성' 또는 '해양성'이라는 용어는 건조하거나 습한 기단을 나타낼 때나, 또는 기단의 습도가 이미 변했을 지리도 기단의 발원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3) 구조적 분류 : 구조적 분류는 전선의 존재와 온대저기압의 순환에 근거한다. 이런 분류에서는 기단을 한대 기단, 중위도기단, 열대기단으로 분류한다. 구조적 분류는 물리적 분류와 지리적 분류를 논외 시키지 않는다. 기단에 구조적으로 이름을 붙이고 또 물리적이고 지리적인 특징을 부여한다. 

 

기단의 분류는 항상 가능하지 않다. 기단 사이에서 전선이 사라졌을 때는 기단의 명백한 구분도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런 현상은 아열대전선의 경우에서는 더 심하다. 아열대전선은 보통 대류권의 중층 이하에는 다다르지 않으므로 중위도기단이 지표면 부근에서는 열대기단과의 구별이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