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전층이란? 역전층의 종류 알아보기

by 뉴스5 2023. 1. 1.

역전층이라는 말을 들어봤는가요? 대기는 대기를 이루고 있는 공기가 안정한 상태가 되도록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하지만 대기는 가열과 냉각이 끊임 없이 반복되기 때문에 안전층이 오래도록 유지 되기는 어렵다. 특히 대류권에서는 말이다. 대류권은 대체로 평균기온감율로 상승하면서 기온이 낮아지는 분포로 되어 있지만 안정층과 불안전층이 존재한다. 

 

역전층이란? 역전층의 종류 알아보기

그중에서 대류권에서 안증층이 있는데 그중에서 역전층은 종관적으로 설명이 가능한 것들이다. 이번 포스팅은 역전층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1. 복사역전층

 복사역전은 대기의 최하층이 복사냉각이 된 지표면과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때문에 역전층의 두께와 그 강도는 풍ㅅ혹, 운량, 지표의 성질, 밤의 길이, 기단과 지표의 처음 온도차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이들의 특성을 역으로 이용하고 또한 일출 이후의 일사로 인한 특성을 알게 되면 복사역전이 해소되는 과정을 알수 있다. 

 복사역전은 그 역전층의 하한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역전 또는 접지역전이라고도 불린다. 복사역전은 매우 안정하고 기온이 낮으므로 지표 부근에서 습도가 클 때는 짙은 안개가 동반된다. 

 

2. 침강역전층

 발달중에 있는 모든 고기압은 그 중심부에서 기층이 침강한다. 침강한 기층은 안정해져서 역전층이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역전을 침강역전이라고 한다. 따라서 침강역전은 고기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침강역전층에서는 상층으로 가면서 급격하게 습도가 감소한다. 때로는 그 이상 높은 고도까지도 건조한 경우가 많으네 침강역전이 있는 기층에서는 날씨가 대게 맑다. 활강전선 형태의 한랭전선에서도 한기의 심한 침강현상으로 침강역전이 발생하여 고기압에서의 침강역전과 혼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아열대 고기압 내의 침강역전층은 그 층이 매우 두껍고 지속성이 길다. 이 고기압의 중심부와 중심부의 서쪽 부분에서는 역전층의 하한 고도가 거의 일정하다. 한랭고기압에서 분리되어 점차 온난화하고 있는 커다란 이동성고기압의 경우는 그 고기압의 중심부와 중심부의 서쪽 부분에서는 역전층의 하한 고도가 거의 일정하다. 한랭 고기압에서 분리되어 점차 온난화하고 있는 커다란 이동성 고기압의 경우는 그 고기압의 동쪽부분이 서쪽부분보다 역전현상이 더 강하고 고도고 비교적 낮게 된다. 

 

3. 난류역전층

 지면 부근에서 강한 바람 때문에 심한 난류가 생기면 나류혼합층에서 기온곡선은 그 혼합층의 평균온도를 온위로 하여 건조단열적으로 바뀌고, 이슬점곡선은 대체로 평균이슬점을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일치하게 변한다. 그러면 이러한 혼합층의 윗면에 역전현상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난류역전이라고 한다.  난류역전층에서는 상대습도가 혼합층의 하부에서는 낮고 상부에서는 높아지게 된다. 만일 난류가 있기 이전에 대기가 비교적 습윤했다면 혼합층 내부에서 포화되고 그 결과로 구름이 발생하게 된다. 두께는 풍속, 지면의 요철의 정도, 하층의 본래의 기온감률에 의해 추정할수있다. 원래의 대기의 기온감률이 과히 안정하지 못햇을 경우는 난류혼합이 있어도 뚜렷하게 역전층을 형성시키지 못한 채 높은 고도까지 연장되기도 한다.  지상에서 수렴이나 경사면의 활주상승, 또는 지면 가열 등의 원인도 대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혼합층이 두꺼워진다. 반대로 지상에서의 발산과 복사냉각은 혼합층을 얇게 한다.

 

4. 대류역전층

 대류권이 안정할 때 지면 가열과 하층의 수렴 등으로 대류가 발생하여 안정한 고도까지 광범하고 지속적인 상승기류가 있으면 이러한 대류층이 꼭대기에는 약한 역전 또는 안전층이 형성된다. 이를 대류역전이라 한다. 이곳이 구름의 상한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대류역전은 침강효과에 의한 역전과 구분하기가 매우 어렵다. 때로는 이러한 대류역전은 권계면의 하강과 모양이 매우 비슷하여 구별하기가 어렵다. 

 

5. 전선역전층

 전선이란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기단의 경계이다. 이때 기단의 성질은 주로 온도와 습도로 나타내는데, 그중에도 온도는 기단을 구별하는 기본적인 성질이다. 연직적으로 보아 전선면의 전이층에서는 심한 온도불연속을 이루어서 비교적 얇고 안정한 기층인 역전층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을 전선역전이라 한다.